spring boot 정적 자원 versioning 에 대한 오해
스프링에서는 정적 자원 versioning을 지원해 준다.예를 들어 /static/js/jquery.js 와 같은 URL이 아닌 다음과 같은 형태의 URL을 클라이언트로 내려준다./static/js/searchBox-d7087d0b4c6023cf277f778f4e0e16f2.js 이와 같이 파일명 중간에 해쉬값을 붙여주는 이유는 무엇일까?다들 경험을 해봤을 것이다. js, css 파일을 수정하고 서버에 배포해도 특정 사용자에 대해서는 수정된 버전의 정적 파일이 적용되지 않아 웹 페이지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다는 이슈들 말이다.이러한 문제는 브라우저 캐쉬때문이다.아마 /static/js/jquery.js?v=20191016 과 같이 뒤에 버전을 추가해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버전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