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Tree를 사용하면서 local repository에 commit을 할 때 항상 Staged 영역에 변경된 소스를 추가한 후 commit을 해주곤 했다.헌데, 이런 반복적인 작업이 여간 귀찮은게 아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Commit mode를 Seleted files로 변경하여 바로 commit을 날리는 것이다. 헌데, 매번 commit mode를 Seleted files로 변경해 주는 것 또한 귀찮다.default 설정을 바꾸는 곳이 분명 있을 거라 생각되어 찾아보니 역시나 존재했다.Tools > Options > Git 탭 이동"Use the staging area" 체크 박스 해제
Git을 이용하여 개발을 하였을 경우 원격 저장소의 소스를 내 로컬 저장소에 merge하기 위해서는 pull을 받게 된다.pull을 하게 되면 원격 저장소의 소스를 로컬 저장소로 가져온 후, Merge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한다.여기서 원격 저장소의 소스를 로컬 저장소로 가져오는 작업을 Fetch라고 한다.즉, pull을 하게 되면 fetch를 한 후 merge 작업까지 자동으로 실행해 주는 것이다. 그럼 pull을 받았을 때 충돌이 발생하면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이런 경우는 우선 fetch를 받은 후 개발자가 수동으로 merge 작업을 진행해 줘야 한다. 이클립스 EGit을 사용할 때 한 가지 알아야 할 것이 있는데 Egit 플러그인에서는 synchronize workspace 실행 전 fetch를 자..
git에 대한 개념적인 설명보다는 실무에서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범위로 상황별 시나리오를 작성한다.각각의 시나리오는 A, B 개발자가 Git을 함께 쓰는 것을 예로 든다. 1. 개발자A 새로운 파일 생성 후 로컬 리포지토리에 commit이클립스에서 newFile1.txt 파일을 새로 생성하게 되면 해당 파일은 Untracked file의 상태를 가진다.Untracked file의 의미는 Git에서 관리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다는 의미이다.이제 파일을 로컬 리포지토리에 commit해보자.프로젝트를 클릭 한 후 team > Synchronize 를 실행하면 newFile1.txt 파일이 목록에 보이게 된다.이제 해당 파일 commit을 해보려고 하면 commit을 할 수 없다. 커밋 버튼이 비활성화 되어..
jenkins를 사용하게 되면 대게 폴링을 이용하여 형상 관리 시스템의 리비전이 변경되었는지를 체크한다.만약 변경이 되어 있으면 빌드가 실행되고, 변경이 없다면 빌드가 실행되지 않는다.허나 이 방법은 매번 jenkins 시스템이 형상관리 시스템으로 불필요한 요청을 보내게 되는데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hook이다. hook의 동작 방식은 개발자가 github에 소스 코드를 push하면 github 시스템이 jenkins 시스템으로 noti를 보내게 되는 방식이며 이를 받은 jenkins 시스템은 빌드를 시작하게 된다. 다음은 설정 방법이다.1. GitHub plugin 플러그인 설치 2. Jenkins > configuration > GitHub Web Hook 이동 - Let Jenkins..
maven package task 실행 시 다음과 같이 INFO 로그와 WARNING 로그가 기록된다.[INFO] ------------------------------------------------------------------------[INFO] Building mySpringProject 1.0.0-BUILD-SNAPSHOT[INFO] ------------------------------------------------------------------------[INFO] [INFO] --- maven-resources-plugin:2.6:resources (default-resources) @ mySpringProject ---[INFO] Using 'UTF-8' encoding to co..
이클립스 workspace에 생성되어 있는 프로젝트를 SVN 형상관리 시스템과 연결을 완료하였는데도 아래와 같이 SVN 관련 icon들이 표시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원인을 찾아 보니 아래 설정으로 들어간 후 "SVN" 에 체크해 주면 정상적으로 icon들이 표시된다.Window > Preferences > General > Appearance > Label Decorations 메뉴 이동 후 SVN 체크
메이븐 빌드 시 test 코드의 수행 시간이 오래 걸려 제외 하는 방법을 찾아 보았다.방법은 다음과 같이 옵션을 추가하면 된다.-Dmaven.test.skip=true
maven 중앙 repository에 jar 파일이 없는 경우 사설 repository에서 다운로드를 제공하려면 해당 jar 파일을 업로드 해야 하는데 업로드 방법을 매번 잊어 먹어 이곳에 정리한다. 순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4번 진행 시 Group 필드에 "fakepath"로 셋팅이 되니 해당 jar 파일의 패키지 경로를 알맞게 넣어주도록 하자. (브라우저에서 보안상의 이유로 중간 path를 fakepath로 바꿈)
개발을 진행하다 보면 필드나 메서드에 주석을 추가하지 않는 개발자가 종종있다.이런 것들을 일일이 소스를 열어보며 확인하는 방법보다 자동화 툴을 이용하여 한번에 찾아내는 편이 훠얼씬 효율적일 것이다.이클립스 플러그인 JAutodoc이 이를 해결해 준다. 플러그인은 Marketplace에서 JAutodoc으로 검색하여 설치하면 되고, 위의 검색 창은 ctrl + h를 눌러 확인하면 된다.참고로 JAutodoc은 한방에 Javadoc을 달아줄 때 사용하면 좋다. 물론 주석의 내용을 채우는 것은 개발자 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