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는 배포, 확장 및 운영을 자동화하는 컨테이너 관리툴이다. kubernetes가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 알아보자.kubernetes없이 Docker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서버에 배포하고 운영 하려면 shell script를 작성하거나 별도의 툴을 사용해야 한다.shell script를 이용한 배포를 예로 들면 docker image registry에서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어 있는 custom docker image를 다운로드 받고 이를 각 서버에 배포하고 실행하는 수준이 될 것이다.이와 같은 배포는 최초 환경 구성 시 빡시게 하면 된다.단, 서비스 운영을 하면서 과도한 사용자 요청이 있을 경우 성능 저하가 발생하게 되는데 그때서야 부랴부랴 서버를 확장하고 애플리케이션을 각 서버에 적절..
Ubuntu 14.04 LTS, Kubernetes 1.5.1 버전을 기준으로 작성한다.Kubernetes 설치를 위한 호스트 정보는 다음과 같다. master 192.168.50.11 node(minion) 192.168.50.2 node(minion) 192.168.50.11 1.root로 로그인 2.모든 호스트에 docker 설치http://lng1982.tistory.com/268 3.kubernetes pods 내부의 컨테이너 관리를 위해 설치# apt-get install bridge-utils 4.git 설치 및 kubernetes clonemaster 노드에만 설치한다.# apt-get install git -y# git clone https://github.com/kubernetes/ku..
[설치 - Ubuntu 14.04]Docker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64bit 리눅스 운영체제 및 커널 버전이 3.10 이상이어야 한다.uname -r 명령어를 통해 커널 버전을 확인할 수 있음 Ubuntu 14.04 버전에는 기본적으로 1.5.0 버전의 Docker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패키지 인덱스 정보 업데이트$ sudo apt-get update 패키지 설치$ sudo apt-get install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apt 매니저 키 등록$ sudo apt-key adv \ --keyserver hkp://ha.pool.sks-keyservers.net:80 \ --recv-..
2016/07/01 09:14:00 [crit] 1938#0: *4 connect() to 127.0.0.1:8080 failed (13: Permission denied) while connecting to upstream, client: 10.0.2.2, server: localhost, request: "GET / HTTP/1.1", upstream: "http://127.0.0.1:8080/", host: "localhost:20000" 위의 오류는 Nginx에서 네트웍 자원을 엑세스 하지 못해 발생하는 문제인데 다음의 rule을 추가해 주면 Nginx에서 tomcat으로의 네트웍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setsebool -P httpd_can_network_connect 1 -P 옵션을 주게 ..
로컬 이클립스 환경에 tomcat 소스를 import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소스 다운로드http://tomcat.apache.org/download-70.cgihttp://apache.mirror.cdnetworks.com/tomcat/tomcat-7/v7.0.64/src/apache-tomcat-7.0.64-src.zip 2.apache-tomcat-7.0.64-src 디렉토리 tomcat으로 변경 (디렉토리명은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하면 된다.) 3.이클립스 > Import > General > Project 생성다운로드 받은 tomcat 소스 폴더 지정해당 프로젝트 > Properties > Project Facets 선택 후 Java에 체크Java ..
레디스 서버 설치 한번 해보자. 1. redis 소스 다운로드wget http://download.redis.io/releases/redis-2.8.17.tar.gz 2. 압축 풀기tar cvfz redis-2.8.17.tar.gz 3. 압축푼 디렉토리로 이동cd redis-2.8.17 4. 컴파일make 5. src 디렉토리로 이동cd src 6. 서버 기동 (background로 구동하기 위해서 & 추가)$ redis-server & 7. redis 서버 접속$redis-cli 8. hello world 테스트127.0.0.1:6379> set hello "hello world"OK127.0.0.1:6379> get hello"hello world"
리눅스에서 ifconfig 명령어를 치면 -bash: ifconfig: command not found 와 같은 메세지가 출력된다.이와 같은 오류 발생 시 ifconfig 파일이 존재하는 디렉토리의 패스를 지정해 줘야 하는데 2가지 방법이 있다. 로그인한 계정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bash_profile을 vi 편집기로 다음과 같이 수정하면 된다. 1번째 방법PATH=$PATH:$HOME/bin --> PATH=$PATH:$HOME/bin:/sbin 패스 구분자 : 를 추가해 준 후 ifconfig 명령어가 존재하는 /sbin 디렉토리를 추가해 주면 된다. 2번째 방법export sbin=/sbinexport 명령어를 이용하여 패스를 추가해 줄 때에는 JAVA_HOME 또는 CATALINA_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