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를 할때마다 Generic 사용법을 잊어먹는 경우가 많아 이해하기 쉬운 수준으로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Class generic typeClass generic type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클래스가 작성된다.어떤 경우에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해서는 ArrayList 클래스를 생각하면 될 것이다.ClassGenericType classGenericType = new ClassGenericType();class ClassGenericType { private T t; public void set(T t) { this.t = t; } public T get() { return t; } } Interface generic typeInterface generic type 또한 Class generic typ..
spring의 RestTemplate을 이용하면 대게 다음의 exchange 메소드를 이용하여 외부 API와 연동을 하게 된다.ResponseEntity response = restTemplate.exchange(requestUrl, httpMethod, requestEntity, p); 위의 exchange 메소드를 이용하여 연동을 할 때 HTTP request, response 전문을 로그로 남기고 싶을 때가 있어서 그 방법을 찾아보게 되었다. 첫 번째 방법은 log4j를 이용하여 로그를 남기는 방법인데 이 방법은 한 줄 로그로 남길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 포기했다. 무슨 말이냐하면 아래와 같이 여러 줄로 로그가 기록된다는 것이다. 여러 줄로 출력되는 로그는 멀티 쓰레드 환경에서는 오류에 대한 원인을..
[유니코드란?]유니코드는 세계 각국의 문자를 하나의 문자코드체계로 제안된 규격이며 기본적으로 한 글자에 2byte(16bit)의 데이터를 사용한다.http://unicode-table.com/ 페이지에 나와 있는 코드들이 세계 각각의 문자를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유니코드들인 것이다.그럼 2byte로 되어 있는 저많은 코드들이 어떻게 한글 또는 알파벳으로 표현되는지 알아보겠다. 먼저 아래 표를 보면 세로 축에 0040 가로축에 1 값이 강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해당 값들을 조합하면 0041과 같은 형태가 되는데 이것이 알파벳 A를 표현할 수 있는 2byte의 유니코드이다. 0041 유니코드 값이 A로 변환되는 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이클립스에서 테스트를 진행해 보면 다음과 같이 A가 표현되는 것을 확..
SimpleDateFormat 클래스는 쓰레드 세이프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할 때 주의를 해야 한다. 다음은 쓰레드 10개를 실행시켜 SimpleDateFormat의 parse("20150630") 메서드를 동시에 실행시키는 테스트 코드이다. 위의 코드를 실행해 보면 다음과 같이 정상적으로 테스트가 종료되는 경우가 있고, 오류가 발생되는 케이스가 있다. 출력된 로그에 나와 있는 것처럼 테스트 코드에서 의도한 Tue Jun 30 00:00:00 KST 2015 값만 노출되는 것이 아닌 이상한 날짜가 출력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Thread safe하지 않은 상태에서 여러 쓰레드가 SimpleDateFormat 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현상이다. 오류가 발생하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가장 큰 우..
selectKey 조회 시 한 건만 가능했던 것이 MyBatis 3.2.6 버전부터는 multiple select key 가 지원되었다.모르고 있었던 기능인데 회사 동료로부터 알게 되었다.Provides some new features: - Caches nested selects - Lazy loading can be enabled only for specific relations - Supports returning multiple fields in a select key - Some other minor improvements http://blog.mybatis.org/2014/03/mybatis-326-released.html 아래와 같이 쿼리를 만들고 테스트를 해보니 잘 동작한다. 실제 업무에서 ..
부모 페이지와 iframe의 도메인이 서로 다르다면 보안상의 이유로 통신을 할 수 없다.통신을 할 수 없다는 의미는 window.parent와 같이 부모창의 DOM에 접근할 수 없다는 것이다.however, for security reasons, the parent page could not communicate with the child Iframe, nor could the child communicate with the parent. 허나, postMessage를 이용하면 parent -> child 또는 child -> parent로의 메세지 전송을 할 수 있다.child -> parent 로의 메세지 전송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 parent 페이지가 로딩된다. 2. paren..
HTTP POST 방식으로의 Request 요청 시 서블릿에서 getParameter("data")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뽑아 올 때 주의사항이 있다.내가 삽질했던 내용을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서버 코드의 Controller에 다음의 request handler mapping이 정의되어 있다.@RequestMapping(value = "/test", method = RequestMethod.POST)@ResponseBodypublic String test(HttpServletRequest request) {String reqData = request.getParameter("data");return "success";} 위에 작성되어 있는 handler가 정상 동작하는지에 대해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 후 ..
로그인 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음의 메소드를 Async 방식으로 호출한 후 로그인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추출하면 항상 null 값이 나온다.@Asyncpublic void searchLog(Search search) {Authentication auth = SecurityContextHolder.getContext().getAuthentication();String userId = auth.getName();} 스프링 시큐리티는 사용자 인증 후 ThreadLocal 객체에 값을 저장하기 때문에 @Async 기능으로 인한 새로운 쓰레드에서는 사용자 세션 정보를 가져올 수 없다.-> spring security 필터를 통과한 쓰레드만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ThreadLocal에 담는다.
@RequestMapping의 value에 선언하는 스트링 값을 프로퍼티에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아래와 같이 Controller에 선언되어 있는 @RequestMapping 이 존재한다.@RequestMapping(value = "/loginPage", method = RequestMethod.GET)public String loginPage() {return "login/loginPage";} 위의 맵핑 애노테이션 정보를 다음과 같이 수정한 후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다.물론, properties 파일에는 cont.req.name=loginPage 라고 선언이 되어 있는 상태이다.@RequestMapping(value = "/${cont.req.name}", method = Requ..
Dynamic Code Evolution VM (DCEVM) 우연하게 Hotswap 기능을 제공해 주는 DCEVM 오픈 소스를 알게 되었다.그것도 공짜이면서 설정이 복잡하지도 않고, 간단하며 hotswap이 빠르게 적용된다. 방금 적용 한 후 테스트를 해보니 hotswap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했다.저장할 때 마다 hotswap을 진행하는데 reload 속도도 빠르고, 최초 애플리케이션 구동 시 오래 걸리지도 않는다.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DCEVM 다운로드https://github.com/dcevm/dcevm/releases 페이지 이동 후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받는다. 2.다운로드 받은 installer-light-jdk7u51.10.jar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작업 중 아래와 같이 빨간 딱지가 보였을 경우 해당 코드를 수정하기 위해서 내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이 CTRL + 1 Quick Assist 기능이다. 대게 내가 사용하는 패턴이 빨간 딱지가 생기면 마우스 커서를 해당 영역으로 옮긴 후 CTRL + 1을 통해 코드를 수정하곤 했는데 에러가 난 라인으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는 단축키가 존재했다.CTRL + , : 현재 커서에서 이전 에러 난 곳으로의 커서 이동CTRL + . : 현재 커서에서 이후 에러 난 곳으로의 커서 이동
빈 등록을 XML이 아닌 코드로 해야 할 일이 있어 찾아보니 DefaultListableBeanFactory를 이용하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스프링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 다음과 같이 DefaultListableBeanFactory 클래스에서 생성된 빈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2014-08-13 13:12:09 INFO o.s.b.f.s.DefaultListableBeanFactory][598] - Pre-instantiating singletons in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7c24d3f1: defining beans [loggingAOP,scheduleTest,appli..
메이븐 멀티모듈 프로젝트로 개발을 하게 되면 jar 또는 war와 같은 형태로 서브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 jar 파일에는 대게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java 코드들을 몰아 넣고, 메이븐 빌드 시 war 프로젝트의 WEB-INF/lib 디렉토리에 배포하여 사용되어지는데 jsp, css, js 같은 파일들도 이와 같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찾아보았다. 방법은 간단하다. (servlet 3.0에서만 가능)다음과 같이 META-INF 하위에 resources 디렉토리를 생성한 후 그 안에 여러 프로젝트에서 공유할 resource를 추가해 주면 된다.META-INF/resources/image/test.pngMETA-INF/resources/css/test.cssMETA-INF/res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