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ER-WIN 으로 물리모델 정리를 하다가 토드에서 comments가 없어 불편했던적이 생각나 알아보니 역시나 논리모델명만 뽑아오는 기능이 있었다..^^ 1. Physical 모드로 변경 2. Database -> Pre & Post Scripts --> Model-Level 선택 3. New 를 클릭한 후, comment 입력 4. Code 탭에 아래의 코드를 삽입한다. %ForEachTable() { COMMENT ON TABLE %TableName IS '%EntityName'; %ForEachColumn() { COMMENT ON COLUMN %TableName.%ColName IS '%AttName'; } } 5. Expanded 탭을 클릭하면 Generation이 이루어지며 DDL 문이..
자바5.0이 나오면서 새로추가된 기능으로 코드가 간결해진다. 단, 기존 1.4에 익숙해져있는 개발자들이 이 문법을 봤을때는 살짝 거부감이 들지도 모른다.. 나 또한 1.4만 써오다 이런게 있다고만 알았지 정작 사용해보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 회사에서 대리님 한분이 사용을 하시길래 개념을 확실히 잡고자 이렇게 정리했다.. import java.util.ArrayList; public class Generic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기존 JDK 1.4에서 사용했던 방식 ArrayList a1 = new ArrayList(); a1.add("aaa"); a1.add("bbb"); a1.add("ccc"); for (int i = 0; i <..
TODO는 태스크 태그라 하며, 뭔가 작업할 것이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로 사용된당. Java > Compiler > Task Tags 페이지에서 태스크 태그 설정을 바꿀 수 있고, 추가 삭제가 가능하다. 이클립스에서 FIXME, TODO, XXX 이렇게 추가하고 Tasks VIew를 확인해보니 아래와 같이 나왔다. 보아하니 설정에따라 FIXME는 앞에 빨간색 느낌표로 나오고, TODO와 XXX는 앞에 아무것도 안나온다....이에대한 설정은 위의 경로를 따라가서 중요도를 바꾸면 되고. 한가지 신기한점은 해당 task를 지정 후 New Task from Marker를 누르니 mylyn과 연동이 된다는 사실이다...ㅎㄷㄷ 좋다 좋아..ㅋㅋ 하지만 쓸일은 없을 듯..^^;
1. 왼쪽상단의 하얀색 파일을 클릭한다.. 2. Hide Wink Window 클릭 (Wink 프로그램을 감춘다는 의미) 3. 셀렉트박스에서 화면비율은 window로 맞춘다. 3. ok 누른다. 4. 연속 샷은 shift + pause 5. 이벤트성 연속 샷은 Alt + Pause (난 이걸로 많이 작업한다.) 6. 메뉴바에 --> (Render) 가있는데 누른다. 7. 저장할 파일이름 *.swf 저장한다... 8. 바탕화면에 html , swf 파일이 생긴다..... 9. html 파일을 클릭하면 동영상을 볼수있다. 설정이나 셋팅을 글로써 보여주는것보다 동영상으로 만들어 배포하면 보다 더 정보 전달이 쉬울거라 생각된다. 다운로드 URL : http://www.debugmode.com/wink/downl..
토드 에디터에서 select * from dual 이렇게 친 후 ctrl + shift + f을 누르면 /* Formatted on 2009/03/14 22:11 (Formatter Plus v4.8.8) */ SELECT * FROM DUAL 이렇게 나오는데 상단의 주석이 걸리적 거린다면 이렇게 하자..ㅋㅋㅋ [View]->[Formatting Options] -> [General Layout] -> [Header] -> Disable
F5키 : 프로그램을 한 스텝 진행하되, 메서드 호출부라면 실행 포인트를 메서드 안으로 옮긴다. 호출하는 메서드의 내부 동작을 확이하고 싶을때 사용 F6키 : 메서드 호출부라도 메서드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현재 코드에서 한 스텝씩 진행한다. 호출하는 메서드의 내부 동작엔 관심 없고, 현재의 코드 블록에 관심을 집중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F7키 : 현재의 메서드에서 리턴한 후, 메서드 호출부에서 다시 멈춘다. F8키 : 멈추어 있던 쓰레드를 다시 진행시킨다. 다음 브레이크포인트를 만날 때까지 계속 실행될 것이다. Drop to Frame : 선택한 스택 프레임의 첫 행으로 실행 포인트를 옮긴다. 특정 메서드를 실행하다 그 메서드의 처음부터 다시 디버깅하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스텝 필터링 ..
jsp 파일에서 html 코드가 빨간색으로 나올때가 간혹가다 있다. 문법상 에러는 없는데 이클립스에서 왜 빨간색으로 표시를 하는지 모르겠지만..보기에 껄떡지근하면 위와같이 설정하자..
compare with라는 기능을 사용할때 공백까지 비교를하기 때문에 헷갈릴때가 많다.. 이때 공백은 비교대상에서 제외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설정부분은 아래와 같다. 체크해주면 공백은 비교대상에서 제외시킨다.
클래스파일을 생성할때, 메서드를 생성할때, 생성자를 생성할때, 인터페이스를 생성할때 기타 등등 생성시기에 주석을 자동으로 달아주는 Template 기능이 있다.
간혹가다 개발자 사이에서 이클립스의 무한한 기능때문에 툴에 너무 의지하는게 아니냐하는 말이 간혹가다 나오곤한다... 그러기에 이클립스의 코드 어시스트 기능을 끄고 개발하시는 분들이 꽤있는데 그 설정부분은 아래와 같이 하면된다. 난 이거 해제하면 개발 못 한다... ㅠㅠ
Filter 항목에 들어가서 Libraries from external Libraries in project 체크하면 jar 파일이 안보이게 된다.. 간혹 Filter가 어디에있는지 모르기때문에 캡쳐해 놨다..위에 동그라미 쳐진곳을 누르면 Filter 항목이 보인다... 하지만 난 이 기능을 사용하고 있지 않는다는거... 이유는 우리 회사 대리님이 Project Explorer를 사용하고있길래 함 써보자는 생각으로 써봤더니 이게 더 편리하고 좋아서이다...^^ ㅎㅎ Project Explorer 추천한다.
요즘 추세는 MVC 패턴을 이용하여 개발을 많이 진행하고있다. 그러나 예전에는 온니 JSP 아니면 자바빈을 이용해 개발을 진행했는데 이때 불편했던점은 JSP 코드와 HTML 코드간 분간이 잘 안되었다.. 전 직장에서 과장님의 이클립스를 잠깐 봤다가 알게된거지만 Jsp 코드만 노란색으로 bgcolor 처리된걸보고 적용하여 잘 쓰고있는데 이제서야 블로깅을 하게 된다....ㅎㅎㅎ 이넘의 귀차니즘이란~~ 일단 어떤식으로 화면이 보여지냐하면.. 뭐 이런식으로 보여지게 된다..^^ 처음엔 적응이 잘 안되겠지만 사용하다보면 유용하다...(내 생각일지도 모르지만..ㅋㅋㅋ) 이클립스에서 셋팅하는 부분은 Preference -> Web and XML -> JSP Files -> JSP Styles 에 들어가서 색깔을 지정..
항상 로컬로 개발해오다 이번 직장에서는 원격 개발서버에 파일을 올리고 확인하는 식의 개발을 하게되었다.. 일단 여러가지 불편한점이 많았다.. 첫째로 수정된 파일을 일일이 개발서버의 경로로 찾아들어가 upload를 해야했고 이 과정에서 실수로 파일한개씩을 빼먹어 에러가 발생하였다.. 더욱 더 문제점은 이 파일을 빼먹었다는 사실을 알기까지 시간이 쫌 걸린다는거...;; 거의 삽질의 연속이다.. 둘째로 이클립스의 브레이크포인트 설정하여 디버깅을 할 수 없다는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선 검색을통해 원격디버깅을 알게되었는데 이게 설정하기가 꽤나 까다럽고 각 WAS 서버마다 설정하는게 달랐다.. 일단 회사에서는 Weblogic을 사용하기에 이리저리 뒤지다 결국 영문문서를 하나 찾았는데 내가 리눅스를 잘 모르다보니 ..
이런 제기럴... 회사 노트북으로 집에서 무선 연결하는데 무려 1시간이나 걸렸다.. 허참... ;; 어이가 없어 이유인즉슨, 노트북에서 무선네트워크보기를 눌러도 무선신호를 검색을 못하는것이었다... Fn + F6키를 바바바 연타를 날려도 잡히지 않자 혹시나 재부팅을 하면 되지않을까하는 생각에 재부팅도 해봤지만..역시나 GG ㅎㄷㄷ 이리저리 궁리끝에 생각난건 예전에 무선네트워크 프로그램을 깔았던거... 시작의 프로그램을 뒤져봤다.. 역시나 inter PROset Wireless 프로그램이 떡하니 있는거....;; (__)(--)이건 뭥미~ (난 머리가 나쁘다는걸 오늘 또다시 알게되었다) 프로그램을 켜보니 하단에 무선 켜기 끄기라는 select 박스가 있어 켜기하니 바로 된다... 파하하하하 삽질했다.. 내..
쿼리 작성을 거의 안하다보니 함수고 조인이고 분석함수고 다 까먹게 생겼다. 아무래도 내 티스토리에 저장하여 간간히 보도록 해야겠당..ㅠㅠ -- 더하고 뺄때 날짜가 더해지거나 빼진다. select sysdate, sysdate + 1, sysdate - 1 from temp where emp_name = '홍길동' -- 시, 분, 초 등을 더함. select to_char(birth_date, 'HH24:MI:SS') birth_time, to_char(birth_date + 14/24, 'HH24:MI:SS') as time, to_char(birth_date + 30/(24*60), 'HH24:MI:SS') as min, to_char(birth_date + 50/(24*60*60), 'HH24:MI:..